- 기존 세대 간 교류증진사업 연계 + 세대별 거점시설 설치지원… 세대 간 상생공간 및 상생프로그램 내용 담아
- 김 의원, “성내동, 세대동행특구 첫 시범지로 최적… 서울 전역으로 확산하여 공존과 협력의 서울을 만들어 나갈 것!”
[서울 세계타임즈=이장성 기자] 서울특별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김영철 의원(국민의힘, 강동5)이 지난 20일, 청년·중장년·노인이 함께 어울려 생활하며 교류하는 ‘세대동행특구’를 제도적으로 지정·운영하기 위한 내용을 담은 「서울특별시 세대동행특구 지정 및 지원에 관한 조례안」을 대표 발의했다.
김영철 의원은 지난 제331회 정례회 5분 발언을 통해 “서울의 초고령화, 청년 유출, 중장년 돌봄 부담이라는 복합적 인구 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세대 간 상생의 장을 마련해야 한다”며 ‘세대동행특구’ 도입과 성내동 시범지구 지정을 정책적으로 건의한 바 있으며, 이번 회기에 이를 구체화한 제정 조례안을 발의하여 제도적 토대를 마련했다.
조례안은 ▲세대동행특구 지정·운영의 목적(제1조), ▲세대동행특구기본계획 수립 및 평가 체계(제5·10조), ▲세대동행특구위원회 설치(제8조), ▲세대동행특구 지원사업(제9조) 등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.
특히 ‘한지붕 세대공감’ 사업이나 경로당 어울림 운영사업 등 기존 세대 간 교류 증진 관련사업과 연계해 시너지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, 더 나아가 청년시설·노인여가복지시설 등 세대별 거점시설의 설치·운영 및 공간 활용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여, 다양한 세대가 일상적으로 교류할 수 있는 기반을 강화했다.
김 의원은 “세대동행특구는 단순한 주거 공유 모델을 넘어 주거·일자리·문화·돌봄·커뮤니티 등 도시 전반에서 세대 간 상생이 일상이 되는 혁신적 모델”이라며, “특히 성내동은 청년·중장년·노인이 균형 있게 어우러진 인구 구조와 풍부한 문화·교통 인프라를 동시에 갖춘 서울시 내 최적의 거점 지역으로, 세대동행특구의 첫 시범지로서 성공 가능성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곳”이라고 강조했다.
이어서 김 의원은 “이번 조례 제정으로 서울시가 세대 간 교류를 제도적으로 지원하고, 미래 세대를 아우르는 도시공동체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게 됐다”며 “앞으로도 시민과 함께 공존과 협력의 서울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”고 말했다.
[저작권자ⓒ 인천세계타임즈. 무단전재-재배포 금지]